역대 신인상 수상자
2010년
(시) 최병암 『윤두서를 그리며』
(동화) 황우상 『뱁새가 황새는 왜 따라가?』
2011년
(수필) 이경일 『영춘迎春』
(수필) 홍준기 『독서하는 습관』
(소설) 이용직 『호식총 虎食塚』
2012년
(시) 강영순 『눈꽃·한우물만 파라고』
(수필) 김홍석 『고봉밥 고문과 사랑』
2012년
(수필) 김해웅 『홍릉 숲의 추억』
(수필) 박종녀 『추억을 더듬으며』
(수필) 최돈호 『대설大雪』
(수필) 한경희 『숲에서의 짧은 동행』
2013년
(시) 인민아 『시래기』
(수필) 박영식 『비 오는 날 오후, 주문진』
2015년
(동시) 양민호 『메아리』
(시) 목경화 『흔적』
(시) 박위순 『할머니의 여름』
(시) 이현자 『소외된 그들』
2016년
(시) 박미경 『병아리 난초』
(수필) 윤경덕 『재물 예찬』
(수필) 이종삼 『서울 참새』
2016년
(수필) 김영희 『망태버섯』
(수필) 김진 『따뜻한 이야기』
(수필) 조은경 『내 이름』
(수필) 홍만희 『오래된 나무』
2017년
(시) 설권우 『종이비행기』
(시) 김종호 『물고기 날다』
2018년
(시) 정란 『숲 속 결혼식』
2019년
(시) 장현두 『몰래 보는 영화』
(수필) 김은희 『라일락과 이별』
(시) 안국희 『쌀밥』
(소설) 백승리 『반보기산』
2020년
(시) 김선길 『절에서 술 마시는 소나무』
(시) 김재구 『파파야나무』
2021년
(시) 김진설 『부내복종』
(수필) 신재일 『소확행 산행』
(시) 김진순 『파꽃』
(시) 최영희 『조상금 여사』
(수필) 김국회 『저는 개박달나무입니다』
(수필) 한태천 『등네는 뉘신가요?』
2022년
(시) 유영초 『그저 거기에』
(수필) 김진설 『익숙해진다는 것』
(수필) 서기홍 『달마자 집으로 오다』
(시) 김황지 『울진 삼척 간』
(시) 엄선미 『동백꽃의 붉은 눈물』
(시) 이창호 『이팝나무』
2023년
(수필) 김영환 『모과가 있던 자리』
(수필) 손영종 『진기명기 소나무들』
(시) 김용덕 『향기로워지기까지』
(시) 오서용 『나무』
(수필) 김선완 『비석치기』
2024년
(시) 김선우 『발우봉勃牛峰 아리랑』
(수필) 김명숙 『모네정원의 봄』